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외식할 때 혈압 오르는 음식 TOP 5

by view6699 2025. 5. 18.

 

 외식을 자주 하는 고혈압 환자라면 반드시 피해야 할 메뉴들이 있습니다. 단순히 짠 음식만 피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숨은 나트륨·포화지방·조리 방식 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혈압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혈압 상승을 유발하는 대표 외식 메뉴 5가지를 분석하고, 왜 피해야 하는지 과학적 이유와 대체 식단 팁까지 함께 소개합니다.

 

 

1위: 국물 있는 찌개·국밥류

김치찌개, 된장찌개, 순두부찌개, 감자탕, 설렁탕, 육개장, 곰탕 등 국물 음식은 혈압 상승의 대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문제는 한 그릇에 들어 있는 숨은 나트륨 함량입니다. 예를 들어 김치찌개 한 그릇에는 평균 1,800~2,500mg의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1일 권장 섭취량 2,000mg에 거의 해당하는 양입니다.

게다가 국물까지 마시게 되면 나트륨 과다 섭취 → 체내 수분 정체 → 혈압 상승의 흐름이 촉진됩니다. 특히 된장, 고추장, 간장 등 발효된 장류 기반 국물은 염도가 더 높고, 외식 시에는 자극적인 맛을 위해 더 많은 양념이 사용됩니다.

 

대체 메뉴 팁
- 찌개 대신 비빔밥, 샐러드볼, 잡곡 도시락 등을 선택
- 국물은 건더기만 먹고 3~4숟가락 이상 마시지 않기
- 가능하다면 덜 짜게 요청하거나 양념 따로 제공 요청

 

 

2위: 튀김·돈가스·치킨류

튀김 음식은 고혈압의 숨은 적입니다. 겉보기엔 나트륨이 많아 보이지 않지만, 튀김옷 자체의 염분과 기름에 반복 노출된 지방산이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줍니다.

 

특히 돈가스 소스, 양념치킨, 튀김 간장소스 등은 나트륨 함량이 매우 높고 설탕까지 포함되어 있어 혈압뿐 아니라 혈당 상승까지 유발합니다. 또한 튀김에 사용되는 트랜스지방 및 포화지방은 혈관의 탄성 저하 → 혈압 조절 기능 저하로 이어지는 주요 요인입니다.

 

대체 메뉴 팁
- 치킨은 오븐구이 또는 훈제 닭가슴살로 대체
- 돈가스 대신 구운 생선 정식, 두부구이 선택
- 튀김류는 반찬으로 소량 섭취하거나 아예 생략

 

 

3위~5위: 혈압에 해로운 외식 메뉴들

3위: 자장면·짬뽕·중식류
- 자장면 1그릇: 나트륨 약 2,200mg
- 짬뽕 국물까지 먹으면 2,500~3,000mg 이상
- 중식 특유의 간장, 굴소스, 고추기름은 염분과 지방 함량 모두 높음
- 기름진 면류는 소화 부담도 높고 혈압 조절에 방해됨

 

4위: 분식류 (라면, 떡볶이, 튀김, 순대)
- 라면 1 봉지: 나트륨 약 1,700~2,000mg
- 떡볶이는 고추장+설탕 조합, 자극적인 맛으로 염분 과다
- 분식은 보통 국물, 튀김, 탄수화물이 동시에 과도하게 섭취됨

 

5위: 패스트푸드 (햄버거, 피자, 감자튀김)
- 햄버거 세트 한 끼로 3,000mg 이상의 나트륨 섭취 가능
- 치즈, 소스, 가공육 등이 문제
- 배달 음식일수록 더 자극적이고 소스 양 많음

 

대체 메뉴 팁
- 중식은 볶음밥 + 계란국처럼 나트륨 조절 가능한 조합으로
- 분식은 김밥(저염 간장), 유부초밥 등으로 대체
- 패스트푸드는 햄버거 대신 샐러드볼, 샌드위치(소스 제거) 선택

 

혈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외식 메뉴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국물류, 튀김, 중식, 분식, 패스트푸드는 나트륨·지방·자극적인 양념이 많아 혈관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외식을 완전히 피할 수 없다면, 조리 방식과 양념 조절, 대체 메뉴 선택으로 혈압 상승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매 끼니의 선택이 건강의 기준이 됩니다. 오늘부터 건강한 한 끼로 바꿔보세요.